Acrylic paint
31.8 x 40.9 cm
Unique work
Purchasing opens late 2025. Be the first to know!
Want a reminder? Join our mailing list.
The Most Intimate Way to Remember Nature – "Walking through mountains and fields, leaving traces with dots." The paintings of Han Soohee go beyond mere visual representation. They are a persistent attempt to grasp invisible elements such as time, memory, and emotion—deeply embedded within life itself—through the most personal and intimate means. Her work is a quiet yet resolute expression of philosophical reflection on existence, visualized through the simplest and most fundamental mark: the dot. On a single canvas, Han patiently places thousands, even tens of thousands, of dots. Through this act, she gently and continuously unravels fragments of memories and emotions layered deep within her. For the artist, the dot is not just a compositional element, but a tactile tool to hold onto fading memories, to soothe raw emotions, and to resist the quiet erosion of time. It is a gesture of documentation—a soft defiance against forgetfulness. The repetitive act of dotting transcends technique. It becomes a bodily language that seeks to "hold onto" what is disappearing—scattered memories, fading feelings, and unreachable presences. This slow and meditative rhythm invites the viewer to pause—not just to see the whole, but to become absorbed in a single dot, where the vibration of the artist’s emotion reverberates. Through this, one is led to recall personal memories and recover long-forgotten sensations. Each work becomes both a window and a mirror for the viewer’s own emotional memory. As a long-time presenter of the documentary series Hwacheop Gihaeng (Painting Journey) on TJB (Daejeon SBS), Han has spent over 15 years walking across more than 100 regions of Korea. Through these journeys, she has quietly collected and archived emotional traces left within the landscape. Sometimes those memories remain scattered, sometimes they coalesce into a narrative. They may belong to her, to others, or to a specific moment in time. These dotted traces are not attempts to reproduce the external world or mimic a faithful image, but rather to recompose emotional fragments into poetic residues—mental images formed where sense and feeling converge. Early in her practice, Han encountered the form of the dot naturally and initially used it within figurative and narrative frameworks. But over time, she began to strip away overt imagery, turning her focus to rhythm, sensation, and repetition itself. Through this transition, she discovered the latent potential of the dot as a structural and emotional device. The repetitive motion of her hand became an embodied language, a physical form of memory. This daily gesture became a ritual—an act of reconstruction, and a quiet declaration of resistance against what disappears. The process of painting became like stitching torn emotions together, a form of healing through which the voids and anxieties left by time are gently filled. It is in this space between intuition and intellect, body and thought, that Han organizes her emotions and, through her work, softly reaches out to others. Her paintings serve as emotional conversations—between herself and the viewer, between past and present,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On that path, when the cold wind brushes against your face, when the sound of insects echoes in the stillness, when the darkness of night feels unfamiliar and overwhelming—you may find yourself stopping before one of her works. That moment becomes like the starlight we quietly gather each night, or like a silent prayer that gives you the courage to rise again at dawn. And each of those tiny dots, each flicker of light, becomes a star within your heart—carrying hope, imagination, freedom, and longing—lingering quietly by your side. 자연을 기억하는 가장 사적인 방식 – “산천을 걷고, 점을 찍는다.” 한수희의 회화는 단순한 이미지의 재현을 넘어, 삶 속에 축적된 기억과 감정, 그리고 시간이라는 비가시적 요소를 가장 개인적인 방식으로 붙잡고자 하는 치열한 시도이자, 존재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시각화하려는 고요하고도 단단한 의지의 표현이다. 작가는 하나의 평면 위에 수천, 수만 개의 점을 찍으며, 자신 내면 깊은 곳에 층층이 쌓여 있는 감정과 기억의 파편들을 천천히, 그러나 멈춤 없이 꺼내어 펼쳐 보이고자 한다. 점이라는 가장 단순한 시각 언어는 작가에게 있어 단지 형상의 일부가 아닌, 기억을 붙들고 감정을 매만지는 도구이며, 시간의 흐름 속에 스며드는 잊힘에 대한 저항이자 기록의 몸짓이다. 반복되는 점의 행위는 단순한 회화적 기법을 넘어, 사라져가는 감정과 흩어지는 기억, 더 이상 닿을 수 없는 존재들을 ‘붙잡기’ 위한 작가의 진지한 몸의 언어이며, 이는 마치 시간을 천천히 붙드는 듯한 감각을 관람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태도와 맞닿아 있다. 관람자는 화면 전체를 조망하다가도 어느 순간, 수많은 점들 중 단 하나에 시선이 멈추고, 그 작은 입자에 담긴 감정의 떨림을 통해 자신의 기억을 되새기고, 마음속 깊은 곳에서 잊고 있던 감각을 다시금 불러올 수 있도록 유도된다. 그리하여 작품은 관람자에게 있어 ‘감각의 기억’과 ‘기억의 채집’을 가능케 하는 창이자 거울이 된다. 대전SBS(TJB) 화첩기행 진행자로서 약 15년에 걸쳐 100여 곳이 넘는 한국의 산천을 걸으며, 작가는 풍경에 스며든 감정의 흔적들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수집하고 기록해왔다. 이 감정의 기억은 어떤 때는 점점이 흩어진 채 떠돌고, 어떤 때는 서로 응집되어 하나의 서사처럼 남아 있으며, 그것은 작가의 내면 이야기일 수도 있고, 타인의 기억일 수도 있으며, 혹은 특정한 시간의 조각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이 점들은 사실적 형상을 재현하거나 원본을 충실히 따르려는 시도와는 다르게, 감정이라는 분리된 요소로 재구성되어 떠오르는 심상의 잔상이며, 감각과 마음이 함께 작용하여 비로소 형상화되는 뭉클한 심적 대상이다. 작가는 자연스럽게 ‘점’이라는 조형 단위를 만나 초기에는 구상적이고 서사적인 표현에 집중했지만, 어느 시점부터 이미지를 제거하고 감각과 리듬, 반복 그 자체에 집중하는 실험에 몰입하게 되었다. 기존의 구상적이고 서사적인 이미지들을 벗어나, 감각과 리듬, 그리고 반복 그 자체에 천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점의 형태적 잠재력을 발견하게 되었다. 점은 반복되는 손의 동작을 통해 몸에 새겨지고, 기억을 담는 육체적 언어가 되며, 매일 이어지는 이 행위는 단순한 작업을 넘어 기억을 재구성하는 일종의 의식이자, 사라지는 것에 저항하려는 작가의 정신적 선언이기도 하다. 이는 동시에 상처 난 마음을 바느질하듯 꿰매는 치유의 행위이며, 시간이 남긴 불안과 공허를 메워가는 과정으로, 무의식과 직관, 이성과 지성 사이에서 작가가 스스로 감정을 정돈하고, 관람자에게 조용히 말을 건네는 일련의 정서적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은 언제나 과거와 현재를 잇는 감정의 흐름 위에서 이루어지며, 관람자는 그것을 통해 자신의 마음 한켠을 들여다보게 되고, 작가 역시 자신을 다잡으며, 동시에 당신의 내면에 닿기를 바라는 절실한 정신의 교감을 끌어내고자 한다. 그 길 위에서, 코끝을 스치는 시린 바람과 귓가를 맴도는 적막한 풀벌레 소리, 그리고 어둠이 내리는 낯선 밤이 두려운 순간, 우리는 그 어느 하나의 작품 앞에서 조용히 발걸음을 멈춘다. 그 시간은 마치 삶 속에 밤마다 모아두었던 별빛과 같고, 새벽의 눈물을 닦아내며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용기를 건네는, 무언의 기도와도 같다. 그리고 그 점 하나하나는, 망망한 바다를 바라보는 순간처럼, 희망과 상상, 자유와 설렘을 품은 마음속 별이 되어 당신 곁에 머물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