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il pastel, Colored pencil
53 x 75 cm
Unique work
Purchasing opens late 2025. Be the first to know!
Want a reminder? Join our mailing list.
A Quiet Resonance That Reveals the Edges of Sensation — Emotional Landscapes Through Layers of Color and Line At first glance, Kim Jinsoung’s paintings may appear as still landscapes. But upon closer observation, one begins to notice something else: light that shifts with time, wind that brushes gently across the surface, and the delicate textures of emotion - condensed into countless subtle lines. Her work is not simply a record of “what was seen,” but a sensory language that recalls “what was felt.” Kim composes her surfaces with a fusion of oil pastel, colored pencil, and oil paint. This combination creates both a physical density and emotional depth, allowing the surface to carry the weight of memory. Thousands of short strokes, laid down in repeating rhythms, build a quiet flow - both a visual tempo and a temporal accumulation. Through this meditative layering, she internalizes the landscape and renders it perceptible to the viewer. One of her central bodies of work, the Mass of Scenery series, juxtaposes the external form of a scene with the internal sensation it evokes. In this series, landscapes are rarely consistent in space or time. They break apart, abstract, or dissolve into planes of color and strands of line. These are not representations of place, but paintings of atmosphere - of what is remembered, what lingers emotionally long after the image itself has faded. In The Road We Walk Together (2022), a gentle trail of footprints cuts across the canvas, inscribing time into a seemingly static field. The soft curves of white recall a snow-covered plain, yet the layered texture evokes both flickering light and the tender emotions of a walk remembered. In Border - Forest (2019), reddish-brown hues compress a forest into abstract shapes, marking a threshold between the visual end of a scene and the emotional beginning of something unseen. Through these works, Kim Jinsoung seeks more than to depict a landscape - she invites us to reorient our sensory experience. Her paintings pose quietly insistent questions: Are we truly seeing? How much do we trust our senses? What separates memory from the reality of what was? She offers no answers. Instead, her canvases gently recalibrate our perception, asking us to slow down and feel—to notice the emotional residue left behind by color, line, and texture. Her work speaks not in declarations, but in whispers that linger. Ultimately, Kim’s painting is a philosophical experiment disguised as landscape. Borrowing the language of the natural world, she invites reflection on the borders between sense and memory, between outer form and inner stillness. She chooses time over brushwork, emotion over depiction, silence over narrative. And in that silence, a world quietly unfolds. Selected Works The Road We Walk Together (2022) Border - Forest (2019) Mass of Scenery (2021) 한글번역: 감각의 경계를 드러내는 조용한 울림 — 색과 선의 축적을 통한 정서적 풍경 회화 김진성의 회화는 처음에는 정지된 풍경처럼 보인다. 그러나 가까이 다가가면 곧바로 깨닫게 된다. 그 안에는 시간을 따라 흔들리는 빛과 바람, 정서의 결이 얇고 섬세한 선들로 응축되어 있다는 것을. 그녀의 작품은 단지 '무엇을 보았는가'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느꼈는가'를 되새기는 감각의 문장이다. 그녀는 오일파스텔, 색연필, 유화 등을 병용하여 화면을 구성하는데, 이 매체들의 결합은 표면의 밀도감과 내면의 감정 층위를 동시에 구축한다. 수천 겹의 짧은 선들이 한 방향으로 반복되면서 화면에 흐름을 만들고, 이 흐름은 곧 시선의 리듬이자 시간의 누적이다. 김진성은 이러한 반복적 수공의 행위를 통해 풍경을 감각화하고 내면화한다. 그녀의 주요 작업 중 하나인 「풍경의 덩어리」 연작은 ‘풍경’이라는 외부 세계의 형상과, 그것을 바라보는 ‘내면의 감각’을 병치하며 작업의 출발점을 제시한다. 이 시리즈에서 풍경은 일관된 공간으로 제시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조각나고 추상화되며, 때로는 비구상적인 색의 면과 선의 결로만 존재한다. 이는 현실의 재현을 넘어서 기억과 감정이 뒤섞인 풍경, 즉 '느껴지는 것'을 회화적으로 풀어낸 결과다. 예를 들어, 「함께 걷는 길」(2022)은 화면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발자국 형태를 통해 정적인 풍경에 시간성을 부여한다. 흰색 계열의 부드러운 곡선은 눈 덮인 들판처럼 보이지만, 그 안의 결은 빛의 흔들림과 걷는 이의 감정을 담은 일기처럼 읽힌다. 「경계선-숲」(2019)은 적갈색의 숲을 추상적 형태로 압축하여, 시각적 풍경의 끝과 감정의 시작이 교차하는 경계의 공간을 형성한다. 김진성은 이러한 작업을 통해 ‘풍경을 그리는 것’ 이상을 추구한다. 그녀의 그림은 감상자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진짜로 보고 있는가?" "감각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기억 속 이미지와 현실은 어떻게 다른가?" 작가의 회화는 이 질문들에 직접적인 답을 주지 않는다. 대신, 색과 선, 텍스처를 통해 각자의 감각을 재조정하고, 보이지 않는 감정의 여운을 시각적 체험으로 전환하도록 유도한다. 마치 속삭이듯 조용하지만, 오래 남는 울림처럼. 결국, 김진성의 회화는 풍경이라는 외형을 빌려, 감각의 경계와 내면의 기억을 사유하는 회화적 실험이다. 그녀는 붓보다 시간을, 형상보다 감정을, 묘사보다 감각의 언어를 선택하며, 침묵을 통과한 후에야 드러나는 세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2022
Mass of Scenery • Dorossy • Seoul [Solo show]
2020
Selected Artist Exhibition • Yangpyeong gun Art Museum • Yangpyeong [Solo show]
2019
Wishing the Wind Blows • Dorossy Gallery • Seoul [Solo show]
2018
Theoria • Ilho Gallery • Seoul [Solo show]
2012
Loose Skin • Moriss Gallery • Daejeon [Solo show]
2009
Separately, together, and together • Insa Art Gallery • Seoul [Solo show]
2009
Separately, together, and together • Gallery Ssangri • Daejeon [Solo show]
2009
Separately, together, and together • Soyeon Gallery • Daejeon [Solo show]
2007
Art Seoul Focus • Hanagaram Museum of Art, Seoul Arts Centre • Seoul [Solo show]
2006
Gaze • YIAN Gallery • Daejeon [Solo show]
2005
Theoria • Gana Art Space • Seoul [Solo show]
2002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 Galleria Time World Gallery • Daejeon [Solo sh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