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il on canvas
60.6 x 91 cm
Unique work
Certificate of authenticity included
There is a moment when change becomes visible - not loud or abrupt, but steady and irreversible. For the artist, that moment arrived when she began to notice the shifting rhythm of her surroundings. The east, west, and north were all caught in the current of rapid development. Only the southern horizon remained still - a rare fragment of untouched time. That southern view, filled with open sky and the quiet breath of nature, began to feel fragile, like something that might vanish overnight. The artist realized she might not always be able to see this view, to feel this air, to witness the subtle movement of seasons in the trees. So she chose to claim it - not with possession, but with preservation. This painting is that act of quiet claiming. A Quiet, Peaceful Fortress of My Own is not a fortress in the traditional sense. It has no walls, no gates. It is a space of stillness carved out of change, a place made not of stone but of light, wind, and memory. In this work, Yoon Soyeon creates a sensory shelter - a landscape that exists as much in the heart as on the canvas. The composition holds no grand narrative. The scene simply is - a pause in the flow, a resistance to the urgency of modern life. But beneath the stillness lies an emotional tension: the knowledge that what is visible today may not remain tomorrow. The painting becomes an archive of presence, a way of holding onto what is fleeting without trying to stop it. As in her other works, Yoon’s use of oil gives the painting its slow, layered rhythm. Color is not applied, but built—stroke by stroke, layer by layer - until it begins to hold time itself. Her palette does not shout, but it listens. It gives shape to a mood, a breath, a pause. This work is not only about nature, but about the need for a space to return to—when the world feels too fast, when emotions are pushed to the edges. It is about the longing to hold stillness close, to wrap oneself in quiet, and to call it one’s own. In that sense, this is not just a painting of a landscape. It is a portrait of a feeling. A wish. A small, silent promise that somewhere - perhaps within - you can still find your own southern horizon. 한글번역: 어느 날 문득, 작가는 깨달았다. 자신이 사는 공간을 둘러싼 세계가 조용히 그러나 급속도로 바뀌고 있다는 것을. 동쪽, 서쪽, 북쪽—세 방향으로는 도시의 재구성과 개발이라는 이름의 속도감이 흐르고 있었다. 오직 남쪽만이 잠시 멈춘 듯, 오래된 시간의 흔적을 붙잡고 있었고, 그 방향으로는 아직도 하늘이 열려 있고, 나무의 색이 계절을 따라 움직이며, 바람이 건드리는 속도가 느껴졌다. 그러나 그 고요도 결국 영원하지 않다는 사실은, 마치 내일이면 사라질 꿈처럼 작가의 마음속을 불안하게 스쳤다. 그래서 작가는 결심했다. 사라지기 전에, 그 장면을 ‘온전히 내 것’으로 만들겠다고. 《평온하고 고요한 나만의 요새》는 그 사적인 선언의 결과물이다. 이 작품은 현실을 단순히 재현하거나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과 감정, 바람의 속도, 빛의 결을 통해 보존된 세계를 회화로 번역한 시도다. 그것은 자연을 가두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감정의 관계를 하나의 공간 안에 조용히 머무르게 하려는 행위이다. 그림 속 풍경은 대단한 드라마나 움직임 없이 그저 ‘거기’에 존재한다. 그러나 이 정적인 장면 안에는 사라짐의 예감이 짙게 깔려 있다. 그래서 이 작품은 단지 고요한 풍경화가 아니다. 이것은 ‘지켜내려는 마음’, ‘기억의 자리’, 그리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계의 경계에 둥글게 만들어 놓은 내면의 피난처’다. 윤소연 특유의 색과 레이어는 이 고요함에 시간을 부여한다. 천천히 쌓이는 오일의 층들, 미묘한 붓질의 리듬은 지금 여기의 감정을 천천히, 그러나 단단히 밀어올린다. 작가는 이 회화를 통해 외부 세계의 속도에서 비켜나, 자기만의 호흡을 되찾는다. 《평온하고 고요한 나만의 요새》는 단순한 자연의 기억이 아니라, 우리가 지키고 싶은 감정의 장소에 관한 이야기다. 삶이 너무 빠르게 지나갈 때, 감정이 너무 자주 밀려날 때, 우리는 어디로 숨을 수 있을까? 이 그림은 그 질문에 대해 이렇게 속삭인다. "당신만의 고요한 남쪽이 있기를."
Yoon Soyeon’s paintings draw our attention to what we so often overlook: the quiet companions of daily life - delivery boxes, paper shopping bags, hand-folded paper planes. These modest objects, familiar to the point of invisibility, become transformed in her hands into something tender and strangely expansive. Her work does not seek drama or spectacle. Instead, it offers a delicate choreography of space and emotion - composed, restrained, but emotionally resonant. The spaces she constructs on canvas are not fixed interiors or defined exteriors. Rather, they are elastic rooms of feeling: containers of memory, stillness, and private reverie. A paper box in her work may be a room, a window, or a sea; it may hold the weight of routine or the lift of a fleeting dream. 한글번역: Using oil paint - a medium that rewards patience - Yoon builds her images slowly, allowing thought and feeling to collect between layers. Her preference for this slow-drying medium mirrors the pace of her inner rhythm. Painting becomes a space not of performance but of listening; not of resolution but of ongoing attention. There is an understated symbolism at play. The recurring presence of boxes and bags - fragile, temporary, and portable - becomes a metaphor for emotional containment and spatial possibility. They are at once grounded and nomadic, soft structures through which the artist navigates both the self and the outside world. Central to Yoon’s artistic philosophy is a quiet inquiry, often unspoken but persistent: Am I content? Am I still in love with this work? How long can I go on painting? These questions are not declarations of doubt but rituals of reflection - moments of pause that have accompanied her for more than two decades as a working artist. Her recent projects show an expanding horizon. The introduction of nature—sky, forest, sea - and elements like paper boats and airplanes suggest a desire not to escape, but to breathe. Her world remains rooted in the everyday, but her gaze reaches outward, gently. The box is still here, but now it contains wind. For Yoon, painting is not a means of escape from anxiety - it is a way of holding it, tending to it, allowing it to soften over time. Her work does not shout, but it stays. And in that staying, there is warmth, generosity, and a quiet resilience. If, in front of one of her paintings, a viewer finds themself smiling - softly, for no reason at all - then perhaps the painting has already done its work. 한글번역: 윤소연의 회화는 삶의 표면에서 흔히 지나치는 것들—택배 상자, 종이 쇼핑백, 종이비행기—를 다시 바라보게 한다. 그녀의 작업은 일상의 가장 평범한 사물에 감정을 새기고, 그로부터 하나의 공간, 장면, 혹은 우주를 재구성한다. 화면 속에 재현된 공간은 눈앞에 있는 실내이기도 하지만, 때론 하늘과 바다, 숲이 스며드는 자연의 확장된 감각이기도 하다. 윤소연의 세계는 물리적 공간이기보다는 감정의 밀도가 머무는 ‘감각의 방’에 가깝다. 이러한 장면들은 결코 거창하거나 화려하지 않다. 그녀의 미학은 조용하고 단정하다. 그러나 그 안에는 삶의 리듬과 감정의 움직임이 촘촘히 엮여 있다. 화면은 담백하지만 결코 평평하지 않으며, 사물은 정적이지만 그 위로 감정의 여운이 흔들린다. 종이 상자와 쇼핑백은 ‘임시적인 구조물’이지만, 그 안에 담기는 감정과 풍경은 작가의 기억과 감각, 그리고 세계와의 관계를 은유하는 방식으로 존재한다. 그녀의 주된 매체인 유화는 느리게 마르고, 화면 위에 시간이 쌓인다. 그 느림은 작가의 사유 리듬과 닮아 있으며, 작품은 그 과정 자체를 포용한다. 그림을 그리는 시간 동안 떠오르는 생각들은 마치 종이 위에 접힌 비행기처럼 작고 사적인 것이지만, 작가는 그 안에서 더 멀리, 더 자유롭게 나아가고자 한다. 윤소연의 회화에는 내면적 질문이 늘 깃들어 있다. “나는 행복한가? 만족하고 있는가? 언제까지 그릴 수 있을까?” 이 자문들은 어떤 거창한 담론의 출발이 아니라, 인간적인 불안과 바람, 회복과 지속에 대한 반복적인 고백이다. 그리고 그러한 질문들 속에서도 작가는 여전히 ‘일상’을 그린다. 마치 매일 아침 같은 자리에 앉아 새로운 하루를 시작하듯, 그녀의 작업은 삶의 반복과 변화를 조율하는 하나의 리듬이 된다. 그녀가 표현하고자 하는 세계는 감정을 덜어내는 ‘해소의 공간’이 아니라, 감정을 담고 머물게 하는 ‘포용의 공간’이다. 보기 쉬운 이미지보다 ‘느껴지는 풍경’이 더 중요하며, 그림이 말해주는 이야기보다 그림이 열어주는 여백이 더 크다. 앞으로의 작업에서 윤소연은 ‘정물’을 기반으로 한 작업을 계획하고 있으나, 동시에 작업은 늘 마음의 흐름에 의해 수정되고 재구성된다. 중요한 건 다음에 무엇을 그릴지보다, 여전히 삶을 그리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다. 그녀에게 예술은 경력을 위한 여정이 아니라, 살아가기 위한 태도이며 지속적인 호흡이다. 그림은 그녀에게 불안을 잠재우는 약이 아니라, 그것을 조용히 받아들이고 돌보는 방식이다. 그리고 그 장면들을 마주한 누군가가, 아주 조용한 미소를 지을 수 있다면—그림은 그 순간 완성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