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il on canvas
60.6 x 45.5 cm
Unique work
Certificate of authenticity included
Time often passes unnoticed—arriving quietly, leaving suddenly. For Yoon Soyeon, spring this year felt especially fleeting. Having spent many seasons painting the rhythms of nature, she has become acutely aware of how brief each one truly is. Spring, once slow and full, now seems to slip through her hands before she can fully hold it. That sense of gentle loss is where this painting begins. My Spring Is Coming is not about the first bloom or the arrival of light. It is about that delicate moment when you realize that spring is already leaving - even as it unfolds before your eyes. The title reads like an affirmation, but beneath it lies a subtle ache: a desire to hold on, to linger just a little longer in the season she loves most. Among the four seasons, spring is the one Yoon finds most beautiful. Not because it is the most dramatic, but because it carries a quiet clarity. In this work, spring is rendered with restraint. A clear sky free of yellow dust, soft transitions of color, and brushwork that feels more like breath than gesture. The palette is tender rather than vibrant, the surface layered with care rather than speed. What emerges is not just a landscape, but a feeling - a record of how a season can pass through the body before it passes through the world. The painting holds a tension between appreciation and farewell, between noticing and already missing. As with many of Yoon’s works, the strength of My Spring Is Coming lies in its subtlety. It does not shout to be understood. Instead, it invites you to slow down, to recall your own fleeting springs, and to notice how emotion gathers in the quietest places. This is not a painting of spring’s beginning. It is a portrait of awareness - of the beauty that arises when we finally see something just as it begins to disappear. And in that realization, the artist finds her own rhythm of remembering. 한글번역: 시간은 늘 그렇게 흘렀다. 특별할 것 없이 다가오고, 조용히 지나가며, 어느 날 문득 “끝나버렸네” 하고 깨닫게 하는 방식으로. 윤소연에게 이번 봄은 유독 짧게 느껴졌다. 사계절을 꾸준히 담아내는 작업 속에서 하나의 계절은 점점 더 가벼워지고, 그 덧없음이 마음에 오래 남는다. 그래서 이번 봄은 다르게 붙잡아야 했다. 사라지기 전에, 흐르기 전에, 그 어느 봄보다 조용한 마음으로 담아내야 했다. 《나의 봄이 오고 있다》는 그런 봄의 감정—아름다움과 아쉬움이 동시에 머무는 계절에 대한 작가의 응시다. 이 작품은 자연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자연을 통해 감정을 기억하는 방식이다. 계절은 예측할 수 있고 반복되지만, 감정은 그렇지 않다. 윤소연은 매년 돌아오는 봄 속에서 늘 다른 자신을 발견하고, 그 마음의 색을 조용히 화면 위에 눌러 담는다. 화면 속 봄은 화사하지 않다. 오히려 단정하고 담백하다. 황사가 걷힌 파란 하늘, 아직 완전히 녹지 않은 공기, 그리고 그 위에 조심스럽게 얹힌 봄의 색들. 붓질은 말하듯 흐르지 않고, 마치 숨을 들이마시는 속도로 얇게 쌓여 있다. 그 느린 리듬은 계절의 찬란함보다는, 그 뒤에 따라오는 작고 사적인 감정을 더 깊이 응시하게 한다. 이 작품은 봄의 시작이 아니라, 봄이 ‘지나가고 있음을 알아차린 순간’에 대한 회화적 기록이다. 봄은 오고 있었고, 이미 머물렀고, 이제 곧 사라진다. 하지만 작가는 말한다. “그 순간에도 나는 그 감정 안에 있었다. 그래서 그 순간은 완전히 지나간 것이 아니다.” 《나의 봄이 오고 있다》는 계절이라는 시간 속에 감정을 스며들게 하는 방식으로, 윤소연 특유의 정서적 회화 세계를 이어간다. 그것은 변화와 반복 사이에서 한 조각의 진심을 붙잡아두려는 섬세한 의지이자, 평범한 순간을 예민하게 감각해내는 한 작가의 조용한 선언이다.
Yoon Soyeon’s paintings draw our attention to what we so often overlook: the quiet companions of daily life - delivery boxes, paper shopping bags, hand-folded paper planes. These modest objects, familiar to the point of invisibility, become transformed in her hands into something tender and strangely expansive. Her work does not seek drama or spectacle. Instead, it offers a delicate choreography of space and emotion - composed, restrained, but emotionally resonant. The spaces she constructs on canvas are not fixed interiors or defined exteriors. Rather, they are elastic rooms of feeling: containers of memory, stillness, and private reverie. A paper box in her work may be a room, a window, or a sea; it may hold the weight of routine or the lift of a fleeting dream. 한글번역: Using oil paint - a medium that rewards patience - Yoon builds her images slowly, allowing thought and feeling to collect between layers. Her preference for this slow-drying medium mirrors the pace of her inner rhythm. Painting becomes a space not of performance but of listening; not of resolution but of ongoing attention. There is an understated symbolism at play. The recurring presence of boxes and bags - fragile, temporary, and portable - becomes a metaphor for emotional containment and spatial possibility. They are at once grounded and nomadic, soft structures through which the artist navigates both the self and the outside world. Central to Yoon’s artistic philosophy is a quiet inquiry, often unspoken but persistent: Am I content? Am I still in love with this work? How long can I go on painting? These questions are not declarations of doubt but rituals of reflection - moments of pause that have accompanied her for more than two decades as a working artist. Her recent projects show an expanding horizon. The introduction of nature—sky, forest, sea - and elements like paper boats and airplanes suggest a desire not to escape, but to breathe. Her world remains rooted in the everyday, but her gaze reaches outward, gently. The box is still here, but now it contains wind. For Yoon, painting is not a means of escape from anxiety - it is a way of holding it, tending to it, allowing it to soften over time. Her work does not shout, but it stays. And in that staying, there is warmth, generosity, and a quiet resilience. If, in front of one of her paintings, a viewer finds themself smiling - softly, for no reason at all - then perhaps the painting has already done its work. 한글번역: 윤소연의 회화는 삶의 표면에서 흔히 지나치는 것들—택배 상자, 종이 쇼핑백, 종이비행기—를 다시 바라보게 한다. 그녀의 작업은 일상의 가장 평범한 사물에 감정을 새기고, 그로부터 하나의 공간, 장면, 혹은 우주를 재구성한다. 화면 속에 재현된 공간은 눈앞에 있는 실내이기도 하지만, 때론 하늘과 바다, 숲이 스며드는 자연의 확장된 감각이기도 하다. 윤소연의 세계는 물리적 공간이기보다는 감정의 밀도가 머무는 ‘감각의 방’에 가깝다. 이러한 장면들은 결코 거창하거나 화려하지 않다. 그녀의 미학은 조용하고 단정하다. 그러나 그 안에는 삶의 리듬과 감정의 움직임이 촘촘히 엮여 있다. 화면은 담백하지만 결코 평평하지 않으며, 사물은 정적이지만 그 위로 감정의 여운이 흔들린다. 종이 상자와 쇼핑백은 ‘임시적인 구조물’이지만, 그 안에 담기는 감정과 풍경은 작가의 기억과 감각, 그리고 세계와의 관계를 은유하는 방식으로 존재한다. 그녀의 주된 매체인 유화는 느리게 마르고, 화면 위에 시간이 쌓인다. 그 느림은 작가의 사유 리듬과 닮아 있으며, 작품은 그 과정 자체를 포용한다. 그림을 그리는 시간 동안 떠오르는 생각들은 마치 종이 위에 접힌 비행기처럼 작고 사적인 것이지만, 작가는 그 안에서 더 멀리, 더 자유롭게 나아가고자 한다. 윤소연의 회화에는 내면적 질문이 늘 깃들어 있다. “나는 행복한가? 만족하고 있는가? 언제까지 그릴 수 있을까?” 이 자문들은 어떤 거창한 담론의 출발이 아니라, 인간적인 불안과 바람, 회복과 지속에 대한 반복적인 고백이다. 그리고 그러한 질문들 속에서도 작가는 여전히 ‘일상’을 그린다. 마치 매일 아침 같은 자리에 앉아 새로운 하루를 시작하듯, 그녀의 작업은 삶의 반복과 변화를 조율하는 하나의 리듬이 된다. 그녀가 표현하고자 하는 세계는 감정을 덜어내는 ‘해소의 공간’이 아니라, 감정을 담고 머물게 하는 ‘포용의 공간’이다. 보기 쉬운 이미지보다 ‘느껴지는 풍경’이 더 중요하며, 그림이 말해주는 이야기보다 그림이 열어주는 여백이 더 크다. 앞으로의 작업에서 윤소연은 ‘정물’을 기반으로 한 작업을 계획하고 있으나, 동시에 작업은 늘 마음의 흐름에 의해 수정되고 재구성된다. 중요한 건 다음에 무엇을 그릴지보다, 여전히 삶을 그리고 있다는 사실 그 자체다. 그녀에게 예술은 경력을 위한 여정이 아니라, 살아가기 위한 태도이며 지속적인 호흡이다. 그림은 그녀에게 불안을 잠재우는 약이 아니라, 그것을 조용히 받아들이고 돌보는 방식이다. 그리고 그 장면들을 마주한 누군가가, 아주 조용한 미소를 지을 수 있다면—그림은 그 순간 완성되는 것이다.